본문 바로가기
건강

상처 클렌징과 관리, 정확한 프로세스와 주의사항

by 오사장의 쉽고 간단한 정보 2023. 12. 12.
반응형

클린싱과 세척은 올바른 상처 관리의 기본입니다. 상처를 깨끗하게 하고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상처 클린싱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모든 오염물질과 손상된 조직은 상처를 봉합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감염의 위험이 있으며 미용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완벽한 상처 치료나 예방적 항생제 사용만으로는 클린싱, 세척 및 죽은 조직 제거의 중요성을 대신할 수없습니다.

상처 클린싱 용액(WOUND CLEANSING SOLUTIONS)

다양한 상업적인 피부 클린싱 제품이 있으며, 이러한 제품을 비교하는 대부분의 임상 데이터는 수술 환자나 동물 실험에서 얻어졌습니다. 최근에는 응급실에서의 사용에 대한 보고도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문헌 자료와 각 용액의 특성을 고려하여 응급 상처 관리에 대한 지침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WOUND CLEANSING SOLUTIONS
소독 용액

포비돈 요오드(Povidone-lodine)

포비돈 요오드(또는 베타딘)는 강력한 살균제인 요오드와 운반체인 포비돈의 조합물입니다. 조직과 접촉하면 포비돈이 요오드를 서서히 분리시키며, 이 과정은 용액의 살균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조직 자극을 최소화하고 잠재적 독성을 감소시킵니다. 포비돈 요오드는 효과적이며, 클로르렉시딘과 비교했을 때 더 강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포비돈 요오드는 10% 용액으로 주로 생산되며, 1%로 희석하여 사용하면 살균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상처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용액은 주로 수술실에서 피부 클리닝을 위해 사용됩니다. 포비돈 요오드 용액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버전도 있으며, 이 버전은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클로르헥시딘(허비클렌스 또는 Hibiclens)는 바이구아니드 항세균제로, 그램 양성 세균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지만 그램 음성 세균에 대한 효과는 포비돈 요오드보다는 떨어집니다. 이 용액은 손 씻기에 가장 적합하며, 세척 작업을 수행할 때 손의 일반적인 기능을 저해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클로르렉시딘 용액 역시 이온성 세제를 포함하고 있어 개방 상처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비이온성 표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s)

비이온성 표면활성제인 플루로닉(F-68 또는 Shur-Clens)와 폴록사머 188 (Poloxamer 188 또는 Pharma Clens)는 효과적인 클린저로, 표면활성제로서 비누와 유사한 클린싱 효과를 가지며 조직에 독성이 없습니다. 이러한 용액은 상처와 열상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눈에도 독성이 없어 얼굴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활성제에는 항균 효과가 없으므로 오염된 상처에 사용하기보다는 포비돈 요오드와 같은 다른 클린싱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수소는 전통적으로 상처 치료에 사용되어왔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용액은 혈액과 조직에서 기포를 형성하여 세균, 잔해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용혈 작용과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다른 클린싱제가 더 권장되고 있습니다. 과산화수소의 주요 역할은 가피 제거에 있으며 항균 효과는 약하고 일시적입니다. 따라서 상처 치유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처 클린징을 위한 준비(PREPARATION FOR WOUND CLEANSING)

열상이나 상처를 클린징하고 세척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손 씻기, 개인보호, 털 제거, 마취, 이물질, 상처 쏘오킹(적시기), 상처 주위 클린싱 그리고 세척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합니다.

손씻기(Hand Washing)

의료적 상처는 무균적 상처가 아니기 때문에 수술 전에 손 씻기는 무의미합니다. 그러나 모든 수술 전에 간단한 손 씻기가 중요하며, 특히 손톱을 깨끗하게 다듬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톱에는 세균이 가장 많이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환자 간호사, 의사 등은 손 씻기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손 씻기는 감염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에는 새로운 항균 세정제들도 사용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클린싱 효과와 세균 억제 효과를 제공합니다.

혈액 및 체액 주의(Blood and Body Fluid Precautions)

의료진은 상처 클린징 중에 환자의 혈액 및 다른 체액과의 접촉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올바른 개인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보호 장갑과 안경은 필수이며 가운을 입는 것도 권장됩니다. 응급실에서는 B형 및 C형 간염 및 HIV와 같은 감염에 대한 예방 조치가 중요합니다. 주사 바늘이 오염된 상처를 통과할 때 세균이 상처 내부로 파문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심해야 합니다.

상처 주위 털 제거(Wound Area Hair Removal)

봉합 전에 상처 주위의 털을 제거하는 것은 흔히 시행되지만, 털을 제거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지에 대한 정확한 근거는 없습니다. 면도 과정은 상처 감염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면도를 할 때 피부를 너무 밀착시키면 피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털은 항균 세정제를 사용하여 쉽게 클린징할 수 있습니다.

마취(Anesthesia)

상처 클린징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마취가 필요합니다. 마취는 환자의 편안함을 보장하며 클린징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물질(Foreign Material)

모든 이물질은 해로울 수 있으며 조직에 남아있을 경우 감염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물질이 발견되면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합니다.

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반응 3

상처 쏘오킹(적시기)(Wound Soaking)

상처 쏘오킹은 잔여물을 제거하고 응혈을 분산시키며 상처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상처 쏘오킹은 세균을 제거하기에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상처 클린징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상처 주위 클린싱(Wound Periphery Cleansing)

상처 주위 클린싱 또는 스크러빙의 목적은 육안으로 보이는 오염물질과 응혈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세척 없이 클린징만 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으며, 상처 주위가 깨끗하게 보일 때까지 클린징을 수행해야 합니다. 특히 오염 물질이 남아있으면 감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경써서 클린징해야 합니다. 외과 스폰지로 스크러빙을 하는 것은 논란이 있으며, 조직 손상의 가능성 때문에 상처 내부 스크러빙은 육안으로 보이는 오염물질 제거에만 사용됩니다.

세척(Irrigation)

상처 세척은 잔여물과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세척은 또한 세균의 수를 줄이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세척 방법 중에서도 높은 압력을 가진 세척이 효과적입니다. 상처에 높은 압력의 세척액을 사용하면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됩니다.

클린싱 준비와 방법(CLEANSING SETUP AND PROCEDURES)

상처 클린싱과 준비에 대한 가이드라인:

  • 환자의 자세 : 모든 수술이나 클린싱 과정에서 올바른 환자의 자세가 중요합니다. 환자는 가장 편안한 자세로 누워야 합니다. 클린싱 과정 중에 불편을 느낄 수 있으므로 환자의 반응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서 있는 자세에서 실신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신 예방을 위해 환자는 누워 있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보호자가 도와주거나 환자의 반응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 마취 : 클린싱과 세척 전에는 상처나 열상을 마취시켜야 합니다. 클린싱 중에 발생하는 통증으로 인해 환자의 협조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마취가 필요합니다.
  • 상처 주위 클린싱 방법 : 10% 포비돈 요오드 용액을 10:1 비율로 희석한 용액을 사용하여 상처 주위 클린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상처내에 상당한 양의 오염물질이나 잔해가 존재한다면, 스폰지를 사용하여 이를 제거해야 합니다. 클린싱 방법은 상처 자체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외부로 향하도록 해야 합니다. 클린싱 방향은 원형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한 스폰지는 사용 후 폐기해야 하며, 스폰지를 다시 상처 방향으로 가져오면 클린싱이 된 상처 주위로 오염물질을 다시 가져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 세척 : 상처 주위 클린징 후 주입기와 스프래쉬 보호장치를 사용하여 세척을 시행합니다. 오염물질이 안 보일 때까지 주위 클린징과 세척을 번갈아 가면서 시행합니다. 세척량은 오염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략 100~250 mL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합니다. 35-ml 주입기와 스프래쉬 보호장치를 사용하면 거리로 인한 물줄기의 분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세척으로 제거되지 않는 오염물질은 스크러빙이나 조직 제거술을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 죽은 조직 제거술(Debridement) : 클린싱과 세척에도 불구하고 죽은 조직이 보이면, 날카로운 외과용 칼 또는 스커버로 죽은 조직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조직 제거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완전한 적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클린싱 완료 확인 : 클린싱이 완료된 상처는 육안으로 보이는 오염물질 없이 깨끗하게 보여야 합니다. 상처 자체에서 혈액이나 응혈이 조금 나올 수 있으나, 오염물질은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클린싱이 완료된 후 무균 스폰지로 상처를 덮어둘 수 있습니다. 클린싱이 완료되면 상처 봉합 준비가 된 것입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따라 상처 클린싱과 준비를 완료하면 상처 관리 및 치료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됩니다. 상처 클린싱 과정에서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상처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처 치유의 복잡성: 기전, 감염, 기술적 요소, 관련 질병 및 약물의 영향

손상 기전 손상 기전은 피부에 가해지는 세 가지 주요 힘(엇갈림, 장력, 압박력)을 통해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고 상처 감염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엇

ohsj10b55555.tistory.com

 

피부와 근막의 해부학적 구조와 상처 치유 과정

피부와 근막의 해부학적 구조는 상처 봉합과 치유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구조는 표피, 진피, 얕은 근막(피하층), 그리고 깊은 근막 등 네 가지 주요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ohsj10b55555.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