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

설날 새해 가족놀이 알아보자!+윷놀이 이기는 전략!

by 오사장의 쉽고 간단한 정보 2024. 2. 5.
반응형

설날은 가족들과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명절입니다. 명절에 가족들과 모이면 재미있는 가족놀이를 하기 마련인데요. 가족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몇 가지 가족 놀이와 각 놀이에 대한 간단한 설명, 필요한 준비물 및 진행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윷놀이
윷놀이

그리고 마지막에 윷놀이를 이기는 전략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윷놀이

윷놀이는 한국의 전통 놀이 중 하나로, 간단한 준비물과 몇 가지 규칙을 통해 즐길 수 있는 게임입니다.

 

[윷놀이 준비물]

  • 윷가락 4개 : 이중 하나는 뒷면에 X표시를 해서 빽도를 나타냅니다.
  • 윷놀이 말판 : 바둑알, 돌맹이 등 다양한 물건으로 말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 윷판 : 바닥에 깔 것으로, 없어도 게임 진행이 가능합니다.

 

[윷놀이 방법]

게임 진행 : 두 명 또는 두 팀으로 나누어 번갈아가며 윷을 던지고 말을 움직입니다.

 

윷 셈하기

  • : 윷가락 하나가 뒤집어지면 말이 한 칸 이동합니다.
  • : 두 개가 뒤집어지면 두 칸 이동합니다.
  • : 세 개가 뒤집어지면 세 칸 이동합니다.
  • : 네 개 모두 뒤집히면 네 칸 이동하고, 한 번 더 던질 수 있습니다.
  • : 아무것도 뒤집어지지 않으면 다섯 칸 이동하고, 한 번 더 던질 수 있습니다.
  • 빽도(뒷도) : 표시된 윷가락만 뒤집어졌을 때, 말을 뒤로 한 칸 이동합니다.

 

  • 말 잡기 : 말이 정지하는 곳에 상대 팀의 말이 있다면, 그 말을 잡을 수 있으며, 잡은 팀은 다시 한 번 윷을 던질 수 있습니다.
  • 말 업기 : 이미 내 말이 있는 곳에 다시 말이 오면 업게 되어 함께 움직입니다.

 

연날리기

연날리기는 한국의 전통적인 민속놀이로, 대나무와 종이를 사용하여 연을 만들고 이를 하늘 높이 날리는 활동입니다. 이 놀이는 겨울철에 주로 즐겨하며, 정월 초하루(설날)부터 대보름까지의 시기에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연날리기 준비물]

: 대나무로 살을 만들고, 그 위에 종이를 붙여 장방형 또는 가오리 모양의 연을 제작합니다.

연줄 : 여러 가지 종류의 실이 사용되며, 연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날리기 방법]

연 띄우기 : 연은 바람을 타고 올라가므로, 바람이 흐르는 방향으로 연을 띄워야 합니다. 연과 날리는 사람의 앞가슴이 45도 각도로 마주보고 있어야 하며, 연줄은 팽팽하게 당겨야 합니다.

 

높이 띄우기 : 연을 멀리 높이 날리는 놀이로, 바람의 흐름과 풍압에 맞추어 연줄을 적절히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재주부리기 : 연을 날리는 사람의 손놀림에 따라 연은 다양한 공중곡예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의 구조적 특징과 조종 기술에 달려 있습니다.

 

끊어먹기 : 연싸움의 대표적인 놀이로, 서로의 연줄을 비벼 상대방의 연줄을 끊는 기술입니다.

널뛰기

널뛰기는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 중 하나로, 두 사람이 널판의 양쪽 끝에서 번갈아 뛰면서 즐기는 활동입니다. 이 놀이는 한국의 여러 명절에 행해졌으며, 주로 여성들이 즐겨 했습니다.

 

[널뛰기의 역사와 유래]

널뛰기는 조선 시대에 크게 유행했으며, 놀이뿐만 아니라 축제의 일부로도 여겨졌습니다. 널뛰기 대회가 열렸고, 널뛰기 노래와 춤이 함께 추어졌습니다.

 

[널뛰기 준비물]

널빤지 : 길이 약 212cm, 너비 약 54.5cm의 널빤지가 필요합니다.

멍석 : 널빤지 밑에 멍석을 깔아 가운데를 지지합니다.

참여자 : 널빤지 양쪽 끝에서 뛸 두 명의 참여자가 필요합니다.

 

[널뛰기 진행 방법]

  • 널빤지의 중간을 멍석으로 괴어 놓고,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선 후 번갈아 뛰기 시작합니다.
  • 뛰는 동작에는 '곧추뛰기', '가위발뛰기', '데사리' 등 다양한 기술과 동작이 포함됩니다.
  • 두 사람이 마주서서 번갈아 뛸 때, 탄력에 의해 점점 공중으로 높이 치솟게 됩니다.

 

투호놀이

투호놀이는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로, 서울의 양반가정이나 궁중에서 즐겼던 우아하고 예절을 기반으로 한 게임입니다. 이 놀이는 항아리를 놓고 그 안에 화살을 던져 넣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많은 화살을 항아리 안에 넣을수록 승리하게 됩니다.

 

[투호놀이 준비물]

투호 병 : 항아리 형태로, 투호 놀이의 주된 목표물입니다.

화살 : 투호 놀이에서 사용하는 화살은 일반적으로 나무젓가락, 찰흙, 테이프 등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화살의 앞부분에 깃털을 붙이거나,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중간 부분에 색깔 테이프나 찰흙을 붙일 수도 있습니다.

 

[투호놀이 방법]

  • 투호 병을 일정한 거리에 두고, 참여자는 이 거리에서 화살을 던집니다.
  • 각 참여자는 3개의 화살을 던져 투호 병에 넣을 기회를 갖습니다.
  • 투호 병 중앙에 들어간 화살은 3점으로 계산합니다.
  • 높은 점수를 받은 참여자가 승리합니다. 병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점수를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가까운 통에 넣으면 1점, 중간 통에는 3점, 가장 멀리 있는 통에는 5점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제기차기

제기차기는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로, 엽전이나 쇠붙이를 종이나 천으로 싸서 만든 제기를 발로 차 올리는 활동입니다.

 

[제기 만들기]

엽전제기 : 구멍이 뚫린 엽전이나 쇳조각한지나 비단 등으로 싸서 만듭니다. 술은 7~8cm 정도 길게 하여 종이를 잘게 찢어 만듭니다.

천제기 : 손바닥 크기의 천으로 쇳조각을 싸고, 닭털을 여러 개 꽂아 술을 만듭니다.

비닐제기 : 비닐을 펴서 가운데에 동전을 넣고 둘둘 말아 실이나 고무줄로 동여매고, 가위로 잘라 술을 만듭니다.

 

[제기차기 방법]

  • 땅강아지 : 한 발로 제기를 차 올리는 기본 방법입니다.
  • 헐렁이 : 한 발로 차되, 발이 땅에 닿지 않아야 합니다.
  • 양발차기 : 양발을 번갈아 가며 차는 방법입니다.
  • 귀 위까지 차기 : 차올린 제기가 귀 위로 올라가야 하는 방법입니다.
  • 물기 : 입으로 제기를 받아 물어야 하는 방법입니다.
  • 머리에 얹기 : 차올린 제기를 머리 위에 얹는 방법입니다.

윷놀이 이기는 전략!

[확률적인 측면]

  • 가 나올 확률은 약 20%입니다.
  • 가 나올 확률은 약 31%입니다.
  • 이 나올 확률은 약 34%로 가장 높습니다.
  • 이 나올 확률은 약 12%입니다.
  • 가 나올 확률은 약 3%로 가장 낮습니다.

 

[전략적인 측면]

상대의 말을 '잡기'와 자신의 말을 '업기'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입니다. 상대의 말을 잡을 경우, 당신은 한 번 더 윷을 던질 기회를 얻게 됩니다. 반면, 말을 업을 경우 두 말을 함께 이동시키지만, 이들이 상대에 의해 잡히면 두 말 모두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어떤 전략을 선택하느냐는 게임의 상황과 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상대방의 말을 잡는 '공격적인' 전략이 '평화적인' 전략보다 승률이 높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밝혀진 결과로, 한 번 더 윷을 던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빨주노초파남보 색상의 의미와 특징 알아보기!

빨간색(red) 빨간색은 강렬한 색상으로 흥분, 애정, 위험, 혁명과 같은 강한 감정을 연상시킵니다. 빨간색은 활동적이고 의욕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선정적이거나 에로틱한 느낌을 줄 수도 있습

ohsj10b55555.tistory.com

 

반응형